
이미지 출처 Sora
케임브리지 사전이 최근 ‘Tradwife(전통적 아내)’라는 단어를 새롭게 등재했습니다. 우리나라 표현 중에는 현모양처로 대치될 수 있는 tradwife는 ‘아내는 남편에 순종해야 한다’며 가부장제를 옹호하는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져 퍼진 신조어인데요. 이 단어가 틱톡으로 넘어오면서 의미가 달라졌습니다. 하얀 드레스를 입고 정원을 가꾸거나 빵을 굽는 등 1950년대 주부의 모습을 연출하는 레트로 감성 영상에 Tradwife가 해시태그로 붙기 시작한 겁니다. 그런가 하면, 이와는 정반대로 화려한 파티를 즐기는 영상에 ‘나는 Tradwife’라는 설명을 다는 여성 틱톡커도 생겼어요. Tradwife라는 단어 하나에, 전통적 여성상을 레트로풍 이미지로 소비하는 유저와 이를 풍자하는 유저가 혼재하기 시작한 것이죠. 이런 맥락에서 Tradwife가 케임브리지에 사전에 등재됐다는 건, 단순한 유행을 넘어 ‘전통적 여성상’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도 있어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현모양처 #틱톡 #밈 #tradwife
- 에디터렛허 (info@lether.co.kr)